정의
결핵성 수막염은 결핵균이 뇌척수막을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몸속에 결핵균을 보유한 환자의 결핵균이 뇌를 둘러싼 수막으로 이동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개 신체 면역력을 감소시키는 여러 가지 요인을 보유한 알코올 중독, 당뇨병, 악성 종양 등의 환자에게서 잘 발병합니다. 특히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환자가 일생 동안 질병에 감염될 확률이 1/3 정도로 추정됩니다.
원인
일반적으로 결핵균이 체내에 침입하면 폐에서 감염을 일으킨 후 주변의 림프절로 이동합니다. 이때 결핵균은 혈액을 타고 이동합니다. 질병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던 결핵균이 뇌막이나 뇌 조직에 침투하고, 이 부위에 결핵균이 다량 존재하는 결절을 형성하면서 시작됩니다. 이후에 이 결절이 터지면 다량의 결핵균과 끈적끈적한 삼출물이 거미막 밑 공간으로 흘러나오면서 뇌 바닥의 여러 구조물에 유착을 일으켜 뇌 기능 부전을 초래합니다. 또한 염증 반응에 의해 뇌 바닥을 지나가는 크고 작은 혈관이 막혀서 뇌경색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
초기에는 미열, 권태감, 두통, 졸림, 혼돈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진찰상 가벼운 경부 자극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질병의 특징은 이러한 증상들이 세균성 수막염에 비해 다소 느린 속도로 약 1~2주일에 걸쳐 경과되는 것입니다.
질병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뇌 신경을 침범하는 징후(눈운동신경마비, 드물게 얼굴신경마비, 시야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병은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혼돈, 점차 깊어지는 혼미 및 혼수 등의 증상이 뇌신경마비, 비정상적 동공반사, 국소 신경학적 결손, 두개내압 상승 등과 동반되며, 결국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진단
결핵성 수막염을 진단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는 뇌척수액 검사입니다. 항결핵제를 사용하기 전에 뇌척수액 검사를 먼저 시행해야 하지만, 이것이 어려우면 일단 항결핵제를 투여하고 가급적 빨리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뇌척수액 검사에서 세균의 유전자 검사나 균 배양 검사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핵균을 발견하는 경우도 있지만, 검사의 민감도가 높지 않아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현미경으로 뇌척수액을 검사하여 결핵균을 발견하기도 하지만, 이 검사는 균이 일정 숫자 이상으로 많아야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 방법은 대체로 수일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임상 정보를 종합하여 질병이 의심된다면 바로 결핵 치료를 시작하고 추후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결핵성 수막염은 약물 복합 요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일반적으로 폐결핵에 투여하는 항결핵제를 일차적으로 투여하는데, 이 경우 치료 기간은 9~12개월 정도로 긴 편입니다. 환자가 몇 가지 종류의 항결핵제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에는 다른 이차 약제 중에서 뇌척수액 공간으로 잘 이동하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다면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합니다.
예방법
결핵성 수막염은 예방접종을 맞추어 예방하는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예방접종 종류로는 BCG 백신 예방접종이 있습니다.
또한 환경에서의 감염을 막기 위해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결핵 환자와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이 질병은 단기간에 치료가 가능하며,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당황하지 말고 빠르게 의료기관을 찾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주위 사람들에게 감염이 전파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 주변 부종 관리, 구순염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10.22 |
---|---|
누구에게나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 (7) | 2024.10.17 |
여자들의 감기, 급성 질염 (5) | 2024.10.15 |
병원에 입원 할 경우, 병원 감염성 폐렴 노출 가능 (3) | 2024.10.13 |
모기가 위험하다? 일본 뇌염 (2) | 2024.10.12 |